티스토리 뷰
목차
충청북도에 거주하는 예비맘들을 위한 숨겨진 정부 혜택들, 혹시 놓치고 계신 건 아닌가요? 많은 임산부분들이 모르고 지나치는 지역별 특별 지원금부터 출산 준비 혜택까지, 이 글만 읽으면 우리 지역에서 받을 수 있는 모든 혜택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요. 끝까지 보시면 분명 도움이 되실 거예요!
1. 산후조리비 지원
- 단태아 산모에게 50만 원, 다태아 산모에게는 최대 10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 지원 대상: 2024년 1월 1일 이후 출산하여 충북 도내에 주민등록을 둔 산모, 외국인(F‑6) 산모도 일정 조건하에 포함됩니다.
- 사용 용도: 산후조리원 비용, 의약품·건강식품 구매, 산후 건강관리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합니다.
- 신청 방법: 출산일 기준 6개월 이내에 산모의 주민등록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 신청.
(제천시청, 웰로)
2. 출산·육아수당 (총 1,000만 원)
충북에 거주하는 출생아 1인당, 최대 1,000만 원까지 생애주기별로 지급됩니다:
회차 지급 시기 2023년 기준 금액 2024년 이후 기준 금액
1회차 | 신청일 또는 만 1세 생일 | 300만 원 | 100만 원 |
2회차 | 만 2세 생일 | 100만 원 | 200만 원 |
3회차 | 만 3세 생일 | 200만 원 | 200만 원 |
4회차 | 만 4세 생일 | 200만 원 | 200만 원 |
5회차 | 만 5세 생일 | – | 200만 원 |
6회차 | 만 6세 생일 | – | 100만 원 |
- 최대 1,000만 원 (2024년 이후 기준)
- 신청 방법: 아동의 주민등록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자동지급 원칙)—최초 1회 신청 후 자동 지급, 단 보호자·계좌 변경 시 별도 신청 필요.
(웰로, CBPortal)
3. 임산부 심리·건강·일상 생활 지원
충청북도사회서비스원에서 소득과 무관하게 임산부 누구나 이용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 지원 내용:
- 심리상담
- 산전·산후 교육
- 신체 건강지원
- 가사관리 지원 등
- 목적: 출산을 장려하고, 출산 친화적인 지역 분위기 조성에 기여.
- 문의 및 신청:
- 담당 부서: 서비스지원부 (충북사회서비스원)
- 연락처: 043‑820‑3632
(충청북도사회서비스원)
4.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 전자바우처 및 의료비 지원
- 보건복지부에서는 임신 관련 진료비에 사용할 수 있는 전자바우처 약 50만 원을 제공합니다. 또한 불임 치료(인공수정, 시험관)를 위한 부분 지원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 Morning Calm Birthing)
요약 정리
항목 내용
산후조리비 | 단태아 산모 50만 원, 다태아 산모 최대 100만 원 지원 |
출산·육아수당 | 최대 1,000만 원, 출생→만 6세까지 생애주기별 지급 |
심리·건강·일상 지원 | 심리상담, 교육, 가사 등 생활 전반 지원 (소득 무관) |
정부 전자바우처 | 임신 진료비 지원 (약 50만 원), 불임 치료에도 일부 지원 포함 |
다음은 충청북도 내에 많은 분들이 계시는 지역에 대한 자세한 설명 입니다! 참고 하세요!
청주시
주요 프로그램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국가바우처): 가정에 건강관리사 파견(소득·태아수에 따라 정부지원금 차등). **신청기한이 ‘출산 후 90일’**로 확대(기존 60일). 보건소 방문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 가능. (ZUM 뉴스, 청주시청)
- 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정부24): 임신 확인 후 엽산·철분제, 임신‧출산 진료비(국민행복카드), 표준 모자보건수첩,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등 한 번에 통합 신청. (정부24, gugaktimes.com)
- 임신‧출산 진료비 바우처(국민행복카드): 일태아 100만 원, 다태아 140만 원(분만취약지 추가 20만 원). 산부인과 임신확인서로 카드·바우처 등록. (voucher.go.kr, 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 이지법)
구비서류(예시)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신청서(양식), 신분증, 주민등록등본(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 시 생략 가능), 출산 증빙, 서비스 신청서 등(지자체 고지 양식 사용). (청주시청)
- 맘편한 임신/국민행복카드: 임신확인서, 본인 신분증, 온라인 신청 계정(정부24/건보·카드사). (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
신청 절차
- 임신확인서 발급(산부인과) → 2) **정부24 ‘맘편한 임신’**에서 통합 신청 또는 보건소 방문 → 3) 필요 시 복지로에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온라인 신청 → 4) 바우처·서비스 배정. (정부24, ZUM 뉴스)
충주시
주요 프로그램
- 산후조리비(도 공통): 단태아 50만 원 / 다태아 100만 원. 소득무관, 충주시 거주·도내 출생 등록 산모 대상. 출산일로부터 6개월 이내 신청. (충주공보뉴스)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국가바우처): 보건소 방문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 (카카오톡채널)
구비서류(산후조리비 기준)
신청 절차
제천시
주요 프로그램
- 산후조리비(도 공통): 단태아 50만 원 / 다태아 100만 원, 증빙 합산해 1회 신청, 익월 25일 지급. (제천시청, jc-one.co.kr)
- 예비엄마 엽산제 지원(제천시 자체): 제천 주민등록 여성 대상, 보건소 신청. (제천시청)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국가바우처): 보건소·복지로 신청(기사 공지). (아이뉴스365)
구비서류(산후조리비 기준)
- 신청서, 신분증, 산모 통장사본, 산후조리비용 증빙(영수증·매출전표 등), 필요 시 등본/가족관계증명서(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 시 생략 가능). (제천시청)
신청 절차
- 산후조리 관련 비용 사용 → 2) 출산 후 6개월 내 주소지 읍‧면‧동 방문(분할신청 불가, 1회 합산) → 3) 익월 25일 지급. (제천시청)
빠른 체크리스트(공통)
- 맘편한 임신(정부24): 임신 초기 통합 신청(엽산·철분, 진료비 바우처, 모자보건수첩,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등). (정부24)
- 임신‧출산 진료비 바우처(국민행복카드): 일태아 100만/다태아 140만 + 분만취약지 20만. 카드사·건보공단 또는 온라인 신청. (voucher.go.kr, 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 이지법)
- 산후조리비(충북 도 공통): 6개월 내 방문 신청, 서류는 신분증·통장사본·영수증·신청서, 익월 25일 지급 관행. (제천시청, 괴산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