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스포츠클라이밍 ‘트위스트(Twist / Twist-lock)’ 완전 가이드
트위스트는 몸통을 비틀어(회전) 골반을 벽 쪽으로 “잠그듯이” 넣어 팔 길이를 늘리고, 체중을 발에 싣는 핵심 기술입니다. 드랍니(drop-knee)와 비슷해 보이지만, 무릎을 크게 꺾지 않고도 힙(골반) 회전과 어깨 라인 정렬만으로 효율을 끌어올린다는 점이 다릅니다. 아래에 원리 → 사용 상황 → 단계별 동작 → 훈련 → 상해 예방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1) 트위스트의 원리(생체역학)
- 몸통 회전(흉추 회전) + 골반 인(hip-in)
골반을 벽으로 가져가면 중심(무게중심)이 벽에 가까워져 손에 걸리는 하중이 줄어듭니다. - 어깨 라인 사선 정렬
리치하려는 손이 위, 반대쪽 어깨는 아래로 떨어져 팔 길이(도달 거리)가 늘어납니다. - 발: 안쪽/바깥쪽 에지 사용
리치 방향의 반대발을 바깥쪽 에지(외측 에지) 에 두고, 같은 쪽 발은 안쪽 에지(내측 에지) 로 미세 조절해 마찰을 극대화합니다. - 코어 고정
회전한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복횡근·내외복사근으로 몸통을 단단히 묶습니다.
드랍니와 차이
- 드랍니: 리치 반대쪽 발의 무릎을 깊게 ‘꺾어’ 힙을 강하게 인. 큰 궤적·무릎 스트레스 존재.
- 트위스트: 무릎 꺾임은 적고 상체·골반 회전으로 각을 만든다. 짧고 빠른 리듬에 유리.
2) 언제 쓰나? (노선/지형별 적용)
- 약간의 오버행(10°~35°): 펌핑을 늦추고 다음 포켓/핀치에 짧게 리치할 때.
- 바디 포지셔닝이 중요한 볼더링: 크림프+사이드풀, 개스트론 가듯 사선 당김이 필요한 상황.
- 사이드풀·가스톤 조합: 홀드를 정면으로 ‘힘 대 힘’으로 버티지 말고, 몸을 틀어 옆으로 당김.
- 발 홀드가 촘촘: 작은 마찰 위에서도 힙인으로 체중을 발에 싣기 용이.
- 리드에서 이닝(인스텝) 전: 다음 퀵드로 전 잠깐의 안정화 용도.
덜 적합한 상황
- 슬랩(기울기 작고 마찰 의존): 힙인을 과하게 하면 밸런스 깨짐
- 수직에서 정대응 크림프 싸움: 굳이 틀지 말고 체간 수직 정렬이 효율적일 때도 있음
3) 기본 세팅(체크리스트)
- 시선: 다음 홀드의 가로(접촉면) 를 먼저 본다 → 시선이 가면 어깨가 따라감.
- 발: 리치 반대발 외측 에지 고정 → 동측 발 내측 에지 로 미세 버팅.
- 힙: 리치 반대쪽 힙을 벽으로 밀착(hip-in).
- 어깨 라인: 리치하는 쪽 어깨를 올리고, 반대쪽 어깨를 내려 사선 만들기.
- 코어: 배꼽을 살짝 끌어당겨 갈비-골반 거리 유지.
- 호흡: 도달 순간 내쉬며 복압 유지 → 흔들림 감소.
4) 단계별 동작(How-to)
- 프리셋
- 발 두 개로 플랫폼 만들기 → 중심을 발 사이에 두고 살짝 낮춘다.
- 리치 반대발을 바깥 에지로 세우며 무릎은 과도하게 꺾지 않기.
- 프리-회전
- 골반을 벽 쪽으로 ‘문 열듯’ 살짝 틀고, 가슴은 목표 홀드 쪽으로.
- 하체는 고정, 상체만 먼저 사선 각을 만든다.
- 리치 & 히트
- 리치하는 손의 견갑을 살짝 하강·후인(등으로 당김) → 팔 길이 증가.
- 잡는 순간 손목 중립 유지, 과도한 팔꿈치 벌어짐 금지.
- 스태빌라이즈
- 반대손/발로 미세 플래깅(내/외 플래그) 하여 흔들림 제거.
- 필요하면 미세 추가 회전(2~5°)으로 마찰을 더.
- 체중 전환 & 다음 무브
- 새 홀드가 안정되면 하체로 체중 이관 → 상체 긴장 풀고 다음 발/손 이동.
5) 흔한 오류 & 빠른 교정
- 팔로만 당김 → 어깨 피로·펌핑 급증
→ 교정: 힙인을 먼저 만들고 등(광배·하부승모) 으로 사선 당김. - 무릎 과굴곡(드랍니처럼 깊게 꺾음) → 무릎 내측 스트레스
→ 교정: “짧게 틀고 짧게 푼다” 리듬, 무릎 각도 120~150° 범위 유지. - 시선이 바닥/손으로 → 어깨 라인이 무너짐
→ 교정: ‘시선→어깨→골반’ 순으로 사선 만들기. - 코어 풀림 → 몸이 돌아나가며 스윙
→ 교정: 리치 전 짧은 호기(숨 내쉬기) 로 복압 세팅. - 발 소홀 → 미끄러짐
→ 교정: 외측/내측 에지 미세 각도와 압력 감각 훈련(아래 드릴 참고).
6) 훈련 프로그램(레벨별)
A. 오프로프(벽 없이)
- 거울 앞 트위스트 홀드 (3×10회/측):
스텝 넓이 고정 → 골반만 벽 쪽으로(가상의 벽) 10~15° 틀어 복압 유지. - 밴드 사선 당김 (3×12):
밴드를 위·측면에서 당기며 어깨 라인 사선 감각 만들기. - 팔로프 프레스 (3×12):
회전에 저항하며 코어 고정(반회전 안정화).
B. 저강도 벽 드릴
- 사선 리치 라인(큰 홀드):
10-15° 오버행, 같은 색 큰 홀드만 사용. “힙인→리치→정지 2초” 리듬 2세트. - 외·내 플래그 교대:
한 무브마다 플래그 방향 바꾸기. 흔들림 제로 를 목표(2×5무브).
C. 중·고강도 드릴
- 사이드풀+미세발:
20-30° 오버행, 사이드풀 잡고 외측 에지 로 버티며 짧은 트위스트 반복(3×4무브). - 트위스트-투-가스톤(연결):
트위스트로 도달 → 가스톤으로 잠금 → 발 바꿔 다시 트위스트. 연속성 훈련(3세트).
D. 주간 루틴(예시)
요일 내용
월 | 오프로프 코어(팔로프/밴드) + 저강도 드릴 |
수 | 중강도 드릴(사이드풀/미세발) + 가벼운 볼더 레드포인트 |
금 | 연속 루트 시도(트위스트가 반복되는 문제) + 쿨다운 |
토/일 | 자유등반, 기술 복습(짧은 영상촬영 피드백) |
팁: 2주 단위로 각도(오버행)와 홀드 크기를 내려가며 난도를 천천히 올립니다.
7) 상해 예방(허리·무릎·어깨)
- 허리(요추) 압박/회전 스트레스
- 트위스트는 흉추가 도는 느낌이어야 하며, 요추 과회전 금지.
- 예방 루틴: 고양이-소, 스레드 더 니들(흉추 회전), 데드버그/버드독(요추 안정).
- 무릎 내측(내반/내측 인대) 부담
- 드랍니로 변질되면 위험. 무릎은 발끝 방향과 대체로 일치.
- 발 에지 압력으로 버티고, 무릎 각도 과도한 닫힘 금지(대략 120° 이상).
- 어깨 충돌·건염 예방
- 리치 전 견갑 하강·후인 세팅으로 충돌각 감소.
- 보강: 외회전(밴드), 하부승모/전거근 활성화(월슬라이드, Y-레이즈).
- 피로 관리
- 동일 방향 트위스트를 편중해 반복하지 말고 좌우 균형 세트 구성.
- 통증 신호(찌릿/불안정)가 나면 즉시 강도 하향 혹은 중단.
8) 스트레칭 & 보강(미니 루틴, 8–10분)
- 흉추 회전 스트레칭(스레드 더 니들) 40초/측
- 고관절 외회전/내회전(90/90) 40초/측
- 비복근-햄+둔근 활성(글루트 브릿지 12회, 몬스터 워크 12×2방향)
- 견갑 하강·후인 패턴(밴드 로우 15회 + 밴드 리버스 플라이 12회)
- 코어(데드버그 8회/측 → 사이드 플랭크 20초/측)
9) 실전 적용 팁(한 문장 큐)
- “힙부터 벽으로, 손은 나중에.”
- “시선이 가는 곳으로 어깨를 보낸다.”
- “짧게 틀고, 짧게 멈춘다.”
- “발 에지에 체중! 손은 가볍게.”
- “잡는 순간 숨 내쉬며(후~), 코어 잠금.”
10) 자주 묻는 질문(FAQ)
Q1. 트위스트와 드랍니, 어느 게 더 효율적입니까?
A.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짧은 리치·빠른 리듬에는 트위스트, 큰 각·긴 레버리지엔 드랍니가 유리합니다. 무릎 민감하면 트위스트 비중을 높이세요.
Q2. 키가 작으면 트위스트가 더 중요할까요?
A. 네. 팔 길이 보정 효과가 있어 큰 차이를 만듭니다. 다만 발 에지 정확도가 전제입니다.
Q3. 손 힘이 약해도 효과가 있나요?
A. 있습니다. 트위스트는 하중을 발로 이관하므로 손가락 부담을 낮춥니다. 대신 발 정밀도와 코어가 필수.
Q4. 어떤 신발이 유리한가요?
A. 단단한 미드솔 + 선명한 에지감이 있으면 에지링이 쉬워 초기 학습에 유리합니다.
11) 5분 워밍업 & 3분 쿨다운(현장용)
- 워밍업(5분): 손목 서클 → 어깨 가동(팔 원) → 고관절 회전 → 가벼운 행잉 20초 ×2 → 큰 홀드 사선 리치 5회/측
- 쿨다운(3분): 스레드 더 니들 30초/측 → 햄스트링/둔근 스트레칭 30초/측 → 가벼운 호흡 정리
12) 한눈 체크 카드(복붙해서 암기하세요)
- 시선 먼저 → 어깨 사선 → 힙인
- 반대발 외측 에지 고정, 동측 발 내측 에지 보정
- 리치 순간 견갑 하강·후인, 코어 잠금
- 짧게 틀고 1~2초 정지 후 다음 무브
- 좌/우 균형 반복, 무릎 과굴곡 금지, 요추 과회전 금지
원하시면 이 내용을 한 장짜리 체크 포스터(인포그
래픽) 로 만들어 드릴게요. 문제 각도(수직·10~20°·30° 오버행)별 버전 분리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