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금 어디서 신청하는지 언제 신청하는지 신청할 때 어떤 서류를 가지고 가야 되는지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청기간 신청 방법 어디서 신청하면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기초연금 신청기간
신청 기간 언제 신청하면 되냐면 만 65세 생일이 속하는 달 주민등록 기준이죠. 만이기 때문에 생일이 지나야 만으로는 65세 생일입니다. 그런데 신청 자체는 한 달 전에 신청할 수 있어요. 그래서 제가 예를 들면 12월 생일이다. 12월 1일이 생일이다면 한 달 전인 11월 1일부터 신청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아셨죠? 하지만 뭐 사전에 신청했다 하더라도 돈은 생일이 도래한 월부터 제 생일이 들어 있는 만으로 되는 그날부터 줍니다. 혹시나 이거 저 저절로 주는 줄 알고 계시는 분들이 있어요. 신청을 안 했는데 주는 거 아니야 그렇지 않습니다. 이거 다 신청을 해야 주는 거기 때문에 그렇다면 만약에 내가 깜빡하고 나서 한 달 지나서 신청을 했어요. 그렇다고 해서 소급해서 준다는 말은 아예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민연금공단에서 우편물이 갑니다.
기초연금 신청서류
기초연금 수급 희망 이력 관리 신청서 이게 추가 서류라는 거 보면은 필수는 아니지만 꼭 내가 이제 희망한다 기초연금이 나중에 이번에 탈락하더라도 나중에 혹시나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때 계속 나한테 안내문을 좀 줘라라고 하는 수급 희망 이력 관리 신청서 당연히 쓰셔도 되는 거고요. 사실 이혼 이제 법적으로 이혼이 되지 않았지만 기초연금에 있어서는 사실 이혼이라는 관계를 주장을 본인이 하면은 이제 여러 사람 확인 자녀들의 사인을 받는다든지 이웃 주민 지인 두 사람의 사인을 받아서 이 사실 이혼 이분들은 실제로는 법적으로는 부부지만 얘기를 쭉쭉 들어봤을 때 이 사람들은 사실상은 이혼 관계나 마찬가지다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사실 이혼 관계 확인서라는 것을 제출을 하셔야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초연금 온라인 신청방법
복지로라고 하는 사이트 네이버 다음 이런 포털 사이트에 복지로라고 검색하시면은 온라인 페이지가 뜨고요. 이제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한 다음에 기초연금 신청을 해야 됩니다. 온라인도 가능합니다.
한 달 전쯤에 해서 이제 다음 달이면 신청 달이 되니까 미리 신청하시라라고 안내문이 오니까 그것을 집에서 미리 작성을 해서 가시면 놓치지 않고 첫 달부터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자 이제 중요한 게 서류겠죠 필수 제출 서류 신분증 주민센터 가실 때는 신분증 가지고 가야 본인인 걸 확인할 수 있고요. 두 번째 사회보장급여 신청서 이거 어려운데 이제 본인이 직접 뭐 이런 서류를 다운 받을 필요가 없고 주민센터에 가면 구비가 돼 있습니다. 이거는 가서 작성하셔도 된다. 세 번째 소득 재산 신고서 이제 기초 수급자 기초연금을 받게 되시는 분과 배우자 이제 이분의 소득 재산 부채 이런 것들을 작성을 해야 되니까 뭐 부부 간에라도 조금은 내용을 파악하고 가야 한 사람이 가서 쓸 수 있겠습니다. 소득재산 신고서도 주민센터에 구비가 돼 있지만 내용은 좀 파악하고 가야됩니다.
그리고 이 자가주택이 아닌 전월세를 사시는 임대 임차에서 사시는 분들의 경우에는 이 임대 보증금 자체가 본인의 재산이기 때문에 이 임대차 계약서도 계약서도 필수로 가져가셔야 합니다. 여기 추가 서류에 들어 있기 때문에 임대차 계약서 나 안 가지고 왔는데라는 분들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제 그렇지 않고 임대차 계약서도 아까 말했듯이 본인의 임차 보증금 이게 다 재산이기 때문에 네 임대차 계약서도 챙기셔야 됩니다. 이제 사용대차 확인서라고 하면은 자녀 집에 이제 무료로 사시는 그런 경우 있잖아요. 이제 그럴 때는 임대차 계약서를 쓰진 않았겠죠. 월세 같은 걸 부모 자녀의 실제로 인정도 되지도 않지만 계약서를 안 썼을 테니까 이럴 때 이제 사용대차 확인서라는 게 필요한데 이 서류 또한 본인이 인터넷에서 이걸 다운 받으실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가까운 주민센터 가셔서 사용대차 확인서 내가 이 집에 자녀의 명의 집에 무료로 살고 있다라는 걸 확인서를 쓰셔야 됩니다.
국민연금공단 방문방법
방문하시는 분들의 경우에는 본인의 주민등록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여기가 가장 가깝겠죠 또는 전국 국민연금공단에 가실 경우에는 주소지와 관계없습니다. 제가 주소지가 서울인데 부산에 있는 국민연금공단에 가도 돼요.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 읍면동 주민센터를 가실 분들이라면 본인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로 가셔야겠죠. 네 방문 신청 알아봤고요.